Google trends로 살펴본 LoRa, NB-IoT와 LTE-M

개인적으로 IoT 보안 면에서 기존의 3GPP에서 표준화를 주도한 LTE망에 접목한 IoT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비용/시간 면에서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혹은 비전문가 입장에서 왜 꼭 광대역 망에 접속해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IoT의 I는 "internet" 이라는 것은 알고있는 사실이다. 집안, 회사, 공장, 거리에 있는 장치/기기/기구 들에 부착되는 IoT노드 들은 인터넷을 통해 측정/수집/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끔 디자인하고 있다. 인터넷에 연결해서 안전하고 정확하고 믿을 만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안이 비용보다 우선시 되야 하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비용이 우선한 위험은  얼마전 발생한 Mirai botnet에 의한 미국 Dyn DNS DDos 공격에서 알 수 있다.

이런 위험은 직접적으로 보안 리눅스/암호화 네트워크/보안칩을 준비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IoT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보안이 준비된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수요에 대비해 3GPP 주도의 LTE-M 같은 규격과 LoRa Alliance에서 새롭게 주도하는 IoST Internet of Small Things 를 위한 통신 규격을 제정하고 각국의 통신사에서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소물인터넷 IoST 통신 요약 (업데이트)


트렌드 검색

국내는 SKT 주도 LoRa, KT+LGU+ 연합 NB-IoT을 표준으로 내세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궁금해서 구글 트렌드에 얼마나 관심이 LoRa, NB-IoT 에 집중되나 검색해 보았다. 의외로 NB-IoT, LTE-M 에 대한 검색이 없어서 놀랬다.

트렌드 키워드에서 NB-IOT는 최근 NB-IOT 3gpp 키워드로 검색이 유입되고 있는 듯 하다.

 검색해보면 알지만 5년 검색어로만 보면 LoRa에 대한 관심이 많은 듯 하다. NB-IoT는 1년 사이 검색이 꾸준히 되는 듯. 

LoRa는 전세계적으로 관련한 검색을 꾸준히 하고 있는 듯...




관련 기사

10월 5주 - IoT 분야에서 보안
Mirai botnet에 대한 5가지 사실
소물인터넷 IoST 통신 요약 (업데이트)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aspberry Pi에서 OpenAuto 로 Android Auto 사용하기 Wow!!!

Pi Jack - Raspberry Pi Power HAT

Raspberry Pi Shake - 프로페셔널 개인 지진감지기